
앤텔레콤 선불폰 개통 셀프 방법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이제 1인 1폰은 옛날 말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업무, 개인, 취미 등으로 분리하여 2개 이상의 단말기를 쓰는 분들이 많으니까요.요즘은 SKT KT LG 통신3사 대리점에 방문하는 것보다는 유심 단독 개통을 진행하여,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에 끼워 쓰는 것이 트렌드인데요. 즉, 주변에 있는 편의점, 다이소 등에서 유심칩을 사고, 어플을 통해 인증 후에 직접 알뜰폰 셀프 개통하는 방법이죠. 처음이라면 어색하지만, 알고나면 그리 어렵지 않아요. 그래서 이에 대한 절차를 나누어 볼까 합니다. 선불폰 뜻? 이름 떄문에 오해가 많은 용어인 것 같은데요. 쉽게 말해서 ‘돈을 먼저 내고 쓰는 선불요금제 통신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일반적인 후불 요금제와 반대되는 개념이죠. 사실 납부 말고는 다를게 전혀 없습니다. 흔히 선불유심이라고도 부르죠.오히려 24, 36, 48개월 등 의무적으로 쓰는 기간인 약정 및 위약금이 없고, 연체 등의 사유로 본인 이름으로 된 폰을 못쓰는 분들도 사용이 된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따라서 투폰, 서브폰 활용 위한 공기계는 물론이며 미납폰, 직권해지폰 또한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진행 절차 1. 방문 2. 온라인 접수 크게 2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중에서 본인이 사는 지역, 시간대 등을 고려해서 적합하고 편한대로 고르면 됩니다. 궁금할 땐 네이버 톡톡하세요! 내방하여 선불폰개통 원한다면 위 톡톡으로 지점을 안내받아 예약하고 신분증, 유심비, 요금비, 핸드폰 지참하면 됩니다. 다만 요즘은 코시국이라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도 괜찮다는 생각이 드네요. 셀프개통 유심은 직접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LGU망의 경우 혹은 <다이소>에서 살 수 있구요. KT망은 다이소에 진열되어 있는 파란색으로 구입하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선불폰 만들어볼텐데요. 통신사에 비대면 접수를 위해서 폰에 앱을 하나 설치해야 합니다. 플레이스토어에서 <앤텔레콤 멤버십>으로 검색하되 케이티는 K망, U+는 L망을 다운로드합니다. 미납, 직권해지 상황이라면 필히 ‘선불’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후불로는 앤텔레콤 개통이 어렵기 떄문이죠. 본격적인 진행에 앞서 본인인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N사 인증서 혹은 신카 인증 2가지 중 하나를 통해 가능합니다. 본인 확인은 쉽게 만들 수 있는 네이버인증서만 있다면 간단하게 알림을 받아 체크가 가능합니다. 대면하지 않는 언택트 방식이라 이럼식으로 철저하게 하는 것이 필수이죠. 다음으로 선불폰 개통 처리를 해줄 담당 대리점의 코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아마 ‘태블릿 소유자 회원번호’라는 항목이 보일텐데요. <2758241>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항목에 맞는 정보를 차례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서류를 쓰는 것과 비슷합니다. 다음으로 사용하고 싶은 번호를 직접 고르는 채번 단계입니다. 끝자리 4자리를 넣고 조회를 하면 선택 가능한 후보들이 진열이 됩니다. 그럼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른 후 ‘예약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번호는 추후 30일 마다 변경도 가능합니다. 그 다음에는 선불폰 앤텔레콤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4G LTE 전용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3G나 5G 폰에서도 사용은 가능합니다. 본인의 평소 통화, 문자, 인터넷 사용량에 적합한 것으로 고르면 됩니다. 망에 따라 플랜 구성과 가격에 약간의 차이는 있는데요. 요즘은 아무래도 데이터 사용량이 많다보니 LTE가 많은 무제한 요금제를 주로 쓰는 것 같습니다. 통화보다는 SNS로 소통을 하며, 동영상 시청을 많이 하기 때문이죠. 마지막 단계가 되면 USIM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모델 코드>란에는 ‘영문과 숫자 조합 5쟈리’를 기재합니다. K9900, U8800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거에요. 항목에는 망에 따라서 ‘숫자 8자리 혹은 19자리’를 체크해서 적으면 됩니다. 카카오톡 채널 검색 ‘당신의모바일’로 승인 요청한다. 이렇게 앤텔레콤 개통 신청 완료가 되었다면, 담당자에게 승인을 해달라는 메세지를 보내면 됩니다. 카카오톡 검색창에 <당신의모바일>을 치면 플러스 채널이 나올텐데요. 추가하거나 카톡을 보낼 수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선불폰 앤텔레콤 개통 방법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언뜻 보기에 어렵고 복잡해보일 수 있으나 막상, 직접 해본다면 그리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요금 충전방식만 다를 뿐 착신통화 등의 부가서비스도 쓸 수 있구요. 혹시라도 궁금하신 점이 있거나, 지점 방문을 원한다면 카톡 채널로 물어보시면 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